![](/files/21254/김용수.jpg)
김용수 시인
꽃비가 내리고 있다. 꽃비를 맞으려는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인산인해다. 벚꽃 활짝 피어 있는 순천시 동천 변에는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고 있다. 각종 메스컴을 통해 널리 알려지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나들이길, 그 길로 이어지는 동천변 벚꽃 길은 그야말로 화려하다 못해 뜨겁게 타오르고 있다.
지난공휴일이었다. 휴일을 틈탄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일급수가 흐르는 동천과 벚꽃 흐드러진 천변 길을 삼삼오오 짝을 지어 노닐고 있었다. 특히 순천만국가정원의 봄꽃축제를 구경하기 위해 찾아든 관광객들의 활보가 눈에 띄었다.
해가 갈수록 짙어지는 힐링도시 순천, 그 순천에서의 추억담은 인생의 즐거움이 아닐 수 없다. 100세의 수명을 강조한 현대사회에서 건강위주의 도시여행은 필수가 아닐까 싶다. 무엇보다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물 맑고 공기 맑은 도시에서 자신의 건강을 돌보고 휴식을 취하는 여유를 가질 것이라 믿는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순천의 봄은 화사하고 뜨겁다. 요즘 한반도의 봄이 뜨겁게 달아 오르듯이 순천의 봄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다시 말해 “평양의 봄은 뜨겁고, 서울의 봄은 타들어간다”고 표현하듯 봄꽃축제를 펼치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의 봄은 뜨거울 수밖에 없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진해 군항제 벚꽃축제를 선호했었던 관광객들이 금년 들어서는 순천만국가정원으로 이어지는 동천 변 벚꽃 길이 아름답다며 발길을 순천으로 옮기고 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순천만국가정원에서 펼치는 봄꽃들의 향연과 동천 변 벚꽃 길의 벚꽃향연이 함께 어우러져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기 때문이다.
봄꽃의 아름다움을 어느 누구도 싫어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 봄꽃의 향연을 제대로 꽃피우고 있는 지자체가 순천시가 아닐까 싶다. 앙증맞게 피어나는 꽃 잔디에서부터 탐스런 목련꽃과 벚꽃 그리고 개나리꽃 진달래꽃 복숭아꽃 살구꽃 등이 함께 어우러진 순천의 봄은 참으로 뜨겁게 타오르고 있다.
어쩌면 순천의 산과 들은 온통 연둣빛 그리움을 품고 있는지도 모른다. 병아리부리처럼 연두색 새싹들이 움터오는 것은 멀고도 가까운 그리움을 한꺼번에 몰고 오는듯하다. 때로는 어머니 품을 그립게 하고 때로는 아버지 그늘을 그립게도 한다.
가끔 학창시절에 즐겨 불렀던 “고향의 봄”이 생각난다. 아마도 순천은 온 지구촌사람들이 선호하는 고향의 도시가 아닐까 싶다. 언제나 포근하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도시, 언제나 꽃피는 도시, 언제나 연둣빛 그리움의 도시로 가꾸어 지고 있다.
그러나 어쩌랴! 옥에 티가 있듯 순천시 사각지대에도 쓰레기는 널려 있다. 그것은 순천을 찾는 관광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주암호와 상사호를 끼고 있는 호숫가를 깃 점으로 천변과 농경지 주변 산과 들 그리고 절벽 밑이나 으슥한 장소에는 각종 쓰레기가 방치되어 있다. 썩지도 않는 폐 비닐류와 전자제품, 유리병 등이 흉물스럽게 나뒹굴고 있다.
도농복합시의 장점이면서도 단점들이 내재되어 있는 행정력미비인지, 시민의식결여인지는 모르겠지만 하루속히 정리되길 바랄 뿐이다. 관할부서의 힘이 미흡하면 시민의 힘까지 모아서라도 힐링도시 순천을 가꾸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특히 관광도시, 힐링도시, 교육도시, 행정도시, 교통도시, 예술도시를 지향하는 순천시민의 자긍심을 살려서 곳곳에 방치된 쓰레기정리에 나서야 할 것이다.
뜨겁게 타고 있는 평양의 봄과 서울의 봄을, 아니 한반도의 봄을 상기하면서 순천의 봄도 뜨겁다고 피력해 본다.
연둣빛은 어머니다
그리움을 담은 아버지다
연둣빛 그리움을 삼켜버린
수양버들 이파리가 하느적 하느적
세월 강을 건너고 있는 지금
축축 휘늘어진 나목가지마다
게슴츠레한 실눈을 뜨고 있다
시리디 시린 겨울이야기
거침없이 쓰고 있는 수필마냥
새 움터오는 동천가로수 길은
너랑
나랑
우리랑
아니 그리움이랑
다함께 불러내는 연둣빛이다
물감을 풀어놓은 듯
연둣빛으로 물들어 가는 한반도
평양의 봄이 뜨거웠던 날
서울의 봄이 타들어가던 날
돌아오지 않는 강을 건너
오갈 수 있는 다리 만드는
예술혼이
민족혼이
가슴 가슴마다 전해지던 순간
대한민국만세다
냉기를 받아내는 엄마도
때 낀 침묵을 깨는 아빠도
연둣빛 그리움이다
(필자의 졸시 “연둣빛 그리움” 전문)
<저작권자©참살이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8-04-03 08:28 송고
2018-04-04 08:39 편집